그리스도의 고통에 참여하는 사람들 / 요한 바오로 2세의 <구원에 이르는 고통> 중에서 5장. 그리스도의 고통에 참여하는 사람들 (P. 34) (전략) 구원자께서는 인간을 대신하여 그리고 인간을 위하여 고통을 받으셨습니다. 인간 누구나가 구원 사업에서 자신의 몫을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각자 모두 구원 사엄이 이루어지게 한 그 고통에 참여하도록 부르심을 받고 있습니다. 모.. 밭에 묻힌 보물/책에서 옮긴 글 2015.05.24
네 마음을 내게 다오. / 한비야 네 마음을 내게 다오 이렇게 매일기도를 하고는 있지만 가끔은 정말 깊은 기도가 필요할 때가 있다. 여러 가지 번잡한 일들로 마음이 고단하거나 지쳐 있을 때면 피정을 떠난다. 긴 구호 활동에서 돌아왔던 얼마 전에도 일주일간 침묵 피정을 다녀왔다. 떠나기 전부터 실컷 성경 읽고 마음.. 밭에 묻힌 보물/책에서 옮긴 글 2015.05.05
나의 기도는 이러하게 하소서. / 한비야 나의 기도는 이러하게 하소서 '정말 너무해. 이제는 내 기도를 들어주실 때가 되지 않았어?' 지난 늦가을 어느 저녁, 갑자기 추워진 날씨에 잔뜩 움츠리고 집으로 돌아가는 길에 뜬금없이 하느님께 서운한 마음이 들었다. '이럴 때 남자 친구가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 따뜻한 문자라도 주고.. 밭에 묻힌 보물/책에서 옮긴 글 2015.05.05
하느님 앞에 서서 / 엘리야와 함께 한 40일 중에서 하느님 앞에 서서 <엘리야와 함께 한 40일>중에서 p.34-40 ...... 뭔가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돌이켜보는 게 가끔 도움이 됩니다. 그러나 '어쩌다 그렇게 되었지?', '왜 그럴까?', 또는 '정확히 무슨 일이 벌어진 거지?' 이런 물음에 깊이 빠지다보면 그 자체를 들여다보는 것을 잊게 됩니다. .. 밭에 묻힌 보물/책에서 옮긴 글 2015.03.14
광야 / 엘리야와 함께 한 40일에서 물은 생명에 꼭 필요하며 물이 없는 곳에 광야가 생깁니다. 광야...., 이스라엘 백성은 약속의 땅으로 가는 사십 년 동안 지긋지긋하게 광야를 겪었습니다. 광야에서는 꼭 필요한 것이 새롭게 인식됩니다. 물 한 모금, 빵 한 조각, 연대감. 광야는 황량하게 비어 있어서 눈 돌릴 곳이 없습니.. 밭에 묻힌 보물/책에서 옮긴 글 2015.03.14
공지영ㅡ믿는다는 것은 공지영ㅡ믿는다는 것은 한참 후에 나는 깨달았다... 믿는다는 것은 그분이 우리를 사랑하신다는 것을 믿는 것을. 설사 내 눈앞에서 믿을 수 없을 만큼 나쁜 일이 벌어진다 해도, 사랑한다면 이런 일이 어떻게 생겨날 수 있을까 쉽게 나쁜 일이 벌어진다 해도, 산 같은 고통이 닥쳐온다 해도.. 밭에 묻힌 보물/책에서 옮긴 글 2015.01.24
★ 모멸감 - 굴욕과 존엄의 사회학(김찬호 저) 1. "처분에 맡겨야죠 뭐…그 사람들, 이제나 저네나, 떨구 있는 것만으로도 이미 벌을 받는 거니까…넘겨 드리기 전에는 계산을 많이 했죠…그 쪽과 협상을 할까도 싶었구요…근데 그랬다간 평생 그 집 개로 살 거 같았어요…" (<밀회> 16화) 얼마 전 종영한 JTBC 드라마 <밀회>에서 .. 밭에 묻힌 보물/책에서 옮긴 글 2014.06.02
하느님께서는 모든 상황에서 - 프란치스코 교황님 이 씨앗이 자라는 것을 우리가 언제나 볼 수 있는 것은 아니기에, 우리에게는 내적인 확실성, 곧 하느님께서는 모든 상황에서 어떠한 어려움이 있어도 활동하실 수 있다는 확신이 필요합니다. "우리는 이 보물을 질그릇 속에 지니고 있습니다"(2코린 4,7). 이러한 확신은 흔히 '신비 감각'이.. 밭에 묻힌 보물/책에서 옮긴 글 2014.03.28
신앙은 - 프란치스코 교황님의 <복음의 기쁨> 중에서 신앙은 하느님을 믿는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하느님께서 참으로 우리를 사랑하시고, 살아 계시며, 신비로운 방식으로 개입하실 수 있는 분이시고, 우리를 저버리지 않으시며, 당신 권능과 무한한 창조력으로 악에서 선을 이끌어내시는 분이심을 믿는다는 의미입니다. 이는 그분께서 “.. 밭에 묻힌 보물/책에서 옮긴 글 2014.03.25
[스크랩] [백만장자의 마지막 질문 24] 예수는 우리의 죄를 대신해 죽었다는데, 우리의 죄란 무엇인가? 왜 우리로 하여금 죄를 짓도록 내버려두었는가? (하) 백만장자의 마지막 질문 24 예수는 우리의 죄를 대신해 죽었다는데, 우리의 죄란 무엇인가? 왜 우리로 하여금 죄를 짓도록 내버려두었는가? (하) 김용규 철학자 주간조선 [2219호] 2012.08.13 ‘제노사이드(genocide)’라는 용어가 있다. 근래에는 ‘인종 청소’라는 말로도 자주 표현되는 제노사.. 밭에 묻힌 보물/책에서 옮긴 글 2013.07.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