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젠가 부산에서 천안아산행 기차를 탔다. 바로 뒤쪽에 앉은 청년이 부산역을 출발하면서부터 휴대전화를 꺼내들더니 통화를 하기 시작했다. 안 들으려 책을 읽기도 하고 기도도 하다가 딴생각도 했지만 소용이 없었다. 중간에 한 번 끊나 싶었는데 다시 전화를 걸더니 “미안해, 끊어졌네”하면서 계속 말을 이어간다. 2시간 넘는 통화내용은 그야말로 ‘대화’라기보다 ‘잡담’에 가까웠다. 결국 나는 한시도 쉬지 않고 떠드는 그 청년의 소리를 들으면서 천안아산에서 내려야 했다. 아마도 그 청년은 그렇게 서울역까지 갈 모양이었다.
사람은 태어나면서부터 옹알이를 한다. 이미 말할 수 있는 능력과 욕구를 가지고 태어났기 때문이다. 말을 한다는 것은 인간만이 지닌 즐거움이다. 즐거워서 자꾸 말하고 그러다보니 말도 더 늘게 마련이다. 그렇기에 아이들은 말을 많이 해야 한다. 말을 하면서 두뇌가 계발되어 창의력과 생각의 싹이 트고 사회적 관계의 토대를 만들어간다. 그러다가 아이는 말로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표현하면서 전체적인 인격으로 성장한다. 그래서 어른이 되면 어린아이처럼 마냥 하고 싶은 말을 다 하지 않는다. 말은 자신의 감정과 생각을 정리하여 소통하는 화자의 인격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요즘 우리는 말을 너무 많이 한다. 많이 하다못해 멈출 줄 모르는 몹쓸 수다병까지 생겼다. 학자들은 이를 병적 다변증(logorrhea)이라 한다. 휴대폰으로 인해 생겨난 병이다. 일단 전화기를 들었다하면 말해야 한다. 잠깐 숨만 쉬어도 “여보세요? 여보세요?”하면서 불러댄다. 그러니 쉬지 않고 말해야 한다. 얼굴을 맞대면 눈짓이나 몸짓만으로 느낌과 생각을 알아채지만 전화는 비언어가 통하지 않으니 그저 말해야 한다.
게다가 전화가 오지 않아도 늘 대기상태에 있다. 스마트폰을 만지작거리면서 손에서 놓을 수 없다. 통화가 필요해서가 아니다. 스마트폰과 떨어지면 지구 밖으로 내던져진 것 같은 기분에 허전하고 외롭기 때문이다. 그래서 통화할 사람이 없으면 SNS 세상에 들어가 제3의 친구들과 소통한다. 한없는 소통의 터널로 들어가 잠시도 ‘말’을 쉬지 않는다. 지금 대한민국은 ‘말 중독’에 빠진 것은 아닐까?
어른이 된다함은 인류학적으로도 참을성이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참을성 없는 어린아이 같은 어른, 말 배우는 아이처럼 쉬지 않고 말하는 어른, 공공장소 가리지 않고 아무 곳에서나 전화만 들었다하면 말하는 어른, ‘13세 정신력’에 맞춰 제작된 텔레비전 드라마나 예능프로그램을 거리에서 차 안에서 공원에서 보면서 낄낄거리고 웃는 어른들이 참으로 많아졌다.
우리는 떠오르는 모든 생각을 말로 표현하지 않는다. 말에는 반드시 책임이 따르기 때문이다. 해야 할 말과 하지 말아야 할 말이 있고, 장소와 상대에 따라 해야 할 말도 참아야 할 순간이 있다.
선비가 독서를 귀히 여기면 말 한마디 동작 하나도 함부로 하지 않는다는 옛말이 있다. 왜 그럴까? 말하기는 책읽기의 일부이다. 읽는다는 것은 생각한다는 것이고 그 생각으로 말한다. 글 속의 말이 삶과 만나는 그 지점에서 생각은 깊어지고 말은 무거워진다.
말이 많아지고 있다고 느끼는 순간, 모든 것을 접고 ‘글’을 읽자. 글을 읽다보면 말을 하지 않는 것 이상의 의미를 배우게 될 것이다. 그리고 기도와 참 많이도 닮은 ‘침묵의 언어’를 만나게 된다.
김용은 제오르지아 수녀(살레시오수녀회)는 미국 뉴욕대(NYU) 대학원에서 미디어생태학(Media Ecology)을 전공하고, 버클리 신학대학원(GTU Graduate Theological Union)의 살레시오영성센터(ISS)에서 살레시오 영성을 수학했다. 현재 부산 ‘살레시오 영성의 집’ 관장을 맡고 있다.
(15) 휴대폰이 만들어낸 ‘수다 병’
자아 성숙 이뤄내는 ‘침묵의 언어’
‘말 중독’에 빠진 대다수 현대인
스마트폰 없으면 외로움 느껴
잡담 멈추고 글 읽는 시간 가져야
스마트폰 없으면 외로움 느껴
잡담 멈추고 글 읽는 시간 가져야
발행일 : 2014-10-26 [제2916호, 17면]
김용은 수녀
'강론 말씀 (가나다순) > 김용은 수녀님' 카테고리의 다른 글
(17) 습관이 인격- 인생을 바꾸는 작은 습관 ‘책읽기’ (0) | 2015.01.24 |
---|---|
(16) 구경꾼과 참가자- 숨는 ‘구경꾼’ 만드는 SNS (0) | 2015.01.24 |
(14) e세상에서 ‘듣기’ 어려운 이유- 영적 세상으로 들어가는 문, ‘듣기’ (0) | 2015.01.24 |
(13) ‘생각’을 잃어가는 ‘감각’의 시대- 책장 넘기며 ‘생각’ 되찾자 (0) | 2015.01.24 |
(12) SNS는 ‘공개일기장- 자신과 친밀한 교감 이루는 ‘글쓰기’ (0) | 2015.01.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