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명 : 요한 마리아 비안네(John Mary
Vianney)
축일 : 8월 4일
성인구분 : 성인
신분 : 신부
활동지역 : 아르스(Ars)
활동연도 : 1786~1859년
성 요한 마리아 비안네(Joannes Maria
Vianney)는 1786년 5월 8일 프랑스 리옹(Lyon) 근교에서 열심한 가톨릭 신자로 농부인 마태오와 마리 블루즈 사이의 6남매 중
넷째로 태어났다. 비안네가 태어난 지 얼마 안 되어서 프랑스 대혁명이 일어났고, 5세 때에는 파리(Paris)에서 가톨릭 성직자와 수도자들이
추방되고 살해되는 사건이 발생하자, 비안네는 어린 시절을 주로 부친의 농장에서 양을 치면서 지냈다. 정규 교육은 몇 개월밖에 받지 않았지만,
신앙생활을 충실히 하여 비밀리에 첫 고해(1794년)와 첫영성체(1796년)를 받았다.
18세 때 부친의 허락을 받고 에퀼리(Ecully)
본당 발레(Balley) 신부의 지도를 받으며 개인적으로 사제직을 위한 공부를 시작하였으나 기초 교육이 부족하고 수학 능력도 많이 떨어졌다.
특히 라틴어 공부에 큰 어려움을 겪었다. 게다가 정식으로 등록되어 있지 않은 신학생이었던 비안네는 1809년에 징집을 당해 갖은 고통을 겪었다.
1811년에 베리에르의 소신학교에 입학하여 철학 과정을 공부하고 1813년에는 리옹의 대신학교에서 신학 공부를 하였으나, 라틴어 성적이 좋지
않아 1년 만에 퇴학당한 비안네는 학과 성적은 부족하였지만 발레 신부의 도움으로 신학교에서 공식적으로 신심과 성품을 인정받아 1815년 8월
13일 그르노블(Grenoble)에서 시몽(Simon) 주교로부터 사제 서품을 받았다.
사제 서품 후 발레 신부가 있는 에퀼리 성당에서 2년
동안 보좌 신부로 생활한 비안네 신부는 1818년에 230여 명의 주민밖에 살지 않는 작은 마을 아르스의 본당신부로 부임하였다. 그는 여기서
죽을 때까지 42년 동안이나 봉직하면서 주민들에게 열렬한 신심을 불어넣었다. 이러한 비안네 신부의 노력으로 아르스의 종교적인 분위기는
일신되었고, 그 또한 설교자와 고해신부로 대단한 명성을 얻게 되었다.
그 결과 1827년부터 수천 명의 고해자들이 그에게
성사를 받기 위해 한적한 시골 마을 아르스로 찾아올 정도였다. 매년 2만여 명의 신자들이 비안네 신부를 찾아왔기 때문에, 그는 오전 11시에
설교를 하고 성무일도와 식사, 특별한 상담 시간을 제외하고는 매일 새벽부터 저녁때까지 약 18시간 정도 고해성사를 주어야 했다. 그러나 그의
동료 사제들은 그를 잘못 판단하고, 그를 무식하고 지나치게 열성적이며 허풍선이라고 비난하곤 하였다. 이에 대해 그의 주교는 “저 신부만큼이나
모두 미쳤으면 좋겠다.”고 하며 그를 옹호하였다.
이렇게 열심한 그 역시 가끔씩 사탄의 유혹을 받기도 하였다. 그의
성품은 지극히 단순하였고, 충고는 간단명료하였으나 신심이 차고 넘쳤으며 직선적인 설교를 하였다. 순례자들의 소란, 끊임없는 고해성사 요구들에도
아랑곳 하지 않고 그는 언제나 최선을 다하였다. 그는 단지 세 번 아르스를 떠났는데, 그것은 모두 수도원에 잠시 다녀온 것이 전부였다고 한다.
비안네 신부는 열심한 성무에 지친
나머지 1859년 8월 4일 73세의 나이로 아르스에서 사망하였다. 1905년 1월 8일 교황 비오 10세(Pius X)에 의해 복자가 된
비안네 신부는, 1925년 5월 31일 교황 비오 11세에 의하여 시성되었으며, 1929년에는 교황 비오 11세에 의해 ‘본당 신부의
수호성인’으로 선포되었다.
-
비안네 신부님께서 우리들에게 남기신
말씀
본당신부들의 주보성인인 요한
마리아 비안네 신부님의 선종 150주년을 맞이하여 선포된 사제의 해가 다음달 6월 11일로 막을 내리게 됩니다. 이번 달에는 비안네 신부님께서
우리들에게 남기신 말씀을 전해드립니다.
“네가
아르스로 가는 길을 알려주면 나는 네게 하늘나라로 가는 길을 보여주겠다.”(아르스로 부임하는 날, 안토니오 지브르라는 어린 목동에게 하신
말씀)
사제에
대하여
“사제란 얼마나 위대합니까!
사제 신분은 오직 하늘에서만 이해될 수 있습니다. 만일 이 땅에서 사제의 역할을 이해할 수 있다면 그는 두려움에서가 아니라 하느님의 놀라운
사랑으로 가득 차 죽을 것입니다. 하느님께서 우리를 위해 베푸시는 모든 것은 사제 없이는 할 수 없습니다. 사제는 좋으신 하느님의 청지기요,
하느님 선물의 관리자입니다. 사제가 없으면 주님의 수난과 죽음도 소용이 없습니다. 만일 어떤 사람이 우리 신앙을 없애려고 한다면 맨 먼저 사제를
공격할 것입니다. 사제가 없으면 더 이상 성체성사도 없을 것이고, 성체성사가 없는 곳에는 신앙도 없기 때문입니다. 만일 어떤 사제와 천사를
만난다면 나는 천사보다 먼저 사제에게 인사할 것입니다. 천사는 하느님의 시종이지만 사제는 하느님의 자리에 있기
때문입니다.”
“사제들은 사람들을 위해 늘
기도합니다. 사람들을 위해 좋으신 하느님께 기도할수록 사제들은 거룩해지고 더 큰 은총을 얻습니다. 그러므로 기도해야 합니다. 특히 서품식 때
좋은 사제들을 보내주시기를 청해야 합니다.”
고해성사에
대하여
“고해성사는 성체성사를
준비하는 것입니다. 우리는 세상에서 중요한 것을 받을 때 집 안을 깨끗이 치우고 장식합니다. 마찬가지로 우리는 참으로 주님을 모시기 위해 자신을
장식하고 영혼을 깨끗이 해야 합니다. 성체성사를 잘 받으려면 먼저 회개해야 합니다.”
“아무 생각 없이 고백하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거짓으로 고백하는 사람도 있습니다. 그러나 그렇게 해서는 안 됩니다. 자신을 죄로 기울게 한 모든 상황에 대해 고백해야
합니다. 여러분이 잘못을 고백하는 것은 여러분을 겸손하게 하는 시간입니다. 여러분이 느끼는 부끄러움은 심판 날에 모든 것이 드러나 여러분을
고발할 것에 비하면 큰 일이 아닙니다.”
“교만은 천사들을 천국에서
내쫓아 지옥으로 발걸음을 재촉하게 하는 고약한 죄입니다. 교만이라는 죄는 세상과 함께 시작되었습니다. 여러분, 아십니까? 첫 번째 덕은
겸손입니다. 두 번째 덕도 겸손입니다. 세 번째 덕 또한 겸손입니다.”
성체성사에
대하여
“성체성사보다 위대한 것은
없습니다. 진실한 영성체를 방해하는 것들을 내버리십시오. 그것은 거대한 산 앞에 놓은 한 줌의 먼지와 같습니다. 거룩한 영성체는 사랑의
욕조입니다. 성체를 모실 때 우리는 특별함을 느끼며 온몸 구석구석에서 편안함을 느낍니다. 그 편안함은 무엇입니까? 우리 몸의 각 부분과 하나
되며 설레게 하시는 주님이십니다.”
“주님을 모시지 않으면
우리는 힘을 잃어버립니다. 영혼의 양식이 결핍되면 영혼들은 시들고 약해집니다. 어떻게 그리스도인이 몇 달 동안이나 가엾은 자기 영혼에게 천상
양식을 주지 않고 지낼 수 있습니까? 그것은 마치 잘 차려진 잔칫상을 옆에 두고 굶어 죽는 것과 같습니다.”
“사랑하는 여러분, 주일은
하늘나라를 위한 부를 많이 모을 수 있는 은총과 축복의 날입니다. 미사를 준비하고 하느님 앞에서 깨끗해지기 위해서는 적어도 15분이 필요합니다.
성체성사를 받아 모실 때처럼 양심성찰을 하여 깨끗한 상태가 되어야 합니다. 미사에 잘 참여하기 위해서는 은총 상태에 있는 것이 좋기
때문입니다.”
프랑수아즈 부샤르 엮음,
추교윤 옮김, "아르스 본당신부 성요한 비안네의 가르침"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