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수님을 주님으로 선택한 사람들의 영원한 삶, 행복 (박여향님 번역)
“모든 존재와 사유의 근거”인 하느님을 믿고 사는 모든 그리스도인들이 누리는 영원한 삶과 행복에 대해 베네딕토 16세 교황님께선 다음과 같이 더할 수 없이 아름답고 감동 깊은 말씀으로 표현해 주셨다. 다음은
모든 성인 대축일에 (On All Saints' Day)
"모든 것이 사라질 지라도 하느님만은 영원하시다."("Everything Passes, only God Does Not Change")
하느님은 우리의 삶과 역사의 주역이시며, 인간은 본성상 자신 보다 더 위대하고 초월적인 대상 즉 하느님을 향한다. 완전한 정의, 진리, 행복에 대한 인간의 갈망은 제어될 수 없다.
많은 사람들은 사랑했던 사람들을 저 세상에서 다시 만나보고 싶어하는 갈망과 희망을 지니고 산다. 또 정의가 다시 세워지고 각자가 자신에 합당한 보상을 받는 최후 심판을 굳게 믿고 있다.
그러나 그리스도 신자들에게 있어, 영원한 삶은 이처럼 단순히 영원히 계속되는 그러한 삶이 아니라 질적으로 새롭게 변화된 삶을 말하는 것으로, 하느님 사랑 안에 푹 잠긴 삶을 말한다. 이러한 삶 안에서 우리는 악과 죽음으로부터 자유로워지고 하느님께서 가르쳐 주신 사랑을 나누는 형제, 자매들과 영원한 통공 가운데서 살 수 있다.
이 같은 사실로부터 우리는 잠시 지나가는 이 현세적 지상적 삶 가운데서도 이러한 영원한 삶을 이미 살고 있음을 께달을 수 있는데, 그것은 우리의 영혼이 자신의 궁극적 근거인 하느님과 결합해 있을 때이다. 모든 것이 사라지더라도 하느님만은 변하시지 않는다. 시편 저자는 “ 내 육체와 마음은 사라질지라도 내 마음의 바위는 하느님이시며, 하느님은 영원히 나의 것 이시다 (시편 72(73)장 26절)고 말했다.
성화로 불림 받은 모든 기독교인들은 이 같은 “바위” 위에 단단히 닻을 내린 사람들이며, 이들은 지상에 발을 디디고 있지만 이들의 영혼은 이미 하늘에 가 있어 하느님의 친구들과 더불어 살고 있는 사람들이다.
이때 우리의 영혼은 우리의 마지막 결정적 목적지인 천국으로 향해 가 있으며 우리의 매일 매일의 생활엔 의미가 주어진다. 모든 성인의 날을 맞아 성인들과의 기쁜 통공을 되살려보고 이들의 도움을 받아 우리 삶의 목적인 하느님과의 직접적인 대면을 해보도록 하자. 세상을 떠난 모든 신자들이 이러한 영원한 삶을 상속받을 수 있도록 기도하자. 매 순간 이러한 영원한 삶, 공심판 후 정식으로 선포될 앞으로 도래할 영원한 삶을 우리가 선택할 수 있도록 인도해주시기를 성모님께 기도하자. 이러한 삶은 예수님의 부활로 이미 시작되었으며 우리의 신실한 회심의 생활과 사랑의 삶으로 이 나라의 도래를 앞당길 수 있다.
영원한 삶은 성인이 됨으로서 얻을 수 있다.
성화는 지속적인 노력을 필요로 한다. (Holiness Demands a Constant Effort)
그러면 이러한 영원한 삶을 어떻게 하면 얻을 수 있을까? 누구든 성인이 되면 얻을 수 있다. 그런데 천만 다행스럽게도, 성인들이란 일부 선택된 계층이 아니라 그 수가 셀 수 없이 많다는 점이다. 이러한 성인들 중에는 공식으로 인정받은 성인들 뿐만 아니라 이제까지 모든 시대와 나라에 걸쳐 하느님께서 가르쳐 주신 사랑과 굳은 신심으로 하느님의 뜻을 성취하려 노력했던 세례 받은 모든 사람들이 포함되어 있다. 우리는 이 들 중 많은 사람들의 얼굴과 이름을 모르나 이들이 하느님 나라에서 영광에 싸여 별처럼 빛나고 있음을 신앙의 눈을 통해 알 수 있다.
오늘 모든 성인 대축일을 통해 교회는 “이들 성인들의 어머니이며 영원한 도시의 모상” (알레산드로 만조니)인 존엄한 자기 자신을 경축하고, 모든 성스러움의 원천이며 모범이신 그리스도의 흠없는 정배인 자신의 아름다움을 드러낸다.
오늘 첫째 독서에서 종말론 책인 묵시록의 저자 요한은 모든 국가, 민족, 언어로 부터의 셀 수없이 많은 성인들에 관해 말하고 있다. (묵시록 7장 9절), 이들은 의인 아벨과 신앙의 선조 아브라함를 위시한 구약의 성인들, 신약의 성인들, 초기 기독교 시대의 수많은 순교자들, 이후 각 시대에 걸쳐 나오신 복자들과 성인들 그리고 마지막으로 현시대의 그리스도의 증인들이다.
우리는 이들 성인들에 관해 묵상함으로서 이들과 담고자 하는 열망이, 하느님 곁에서, 그의 빛 안에서 사는 이들 성인들의 행복, 하느님의 큰 가족 안에서 살고 있는 이들의 행복을 우리 역시 갖고자 하는 열망이 우리 안에서 샘솟는다. 이처럼 성인이 된다는 것은 하느님 가까이에서 사는 것, 하느님 가족 안에서 사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성인됨은 우리 모두의 소명으로 제2차 바티칸 공의회는 이를 확언하고 있다.
그러면 구체적으로 어떻게 하면 성인이 될 수 있을까? 먼저 특별한 행위나 업적, 특별한 카리스마가 성인이 되기 위한 필수 조건은 아니다. 이보다는 예수님 말씀을 귀담아 듣고 그의 가르침을 따르며 어떠한 어려움 가운데서도 신심을 잃지 않는 것이 필수 조건이다.
“나를 받들기를 원하는 자 누구든, 나를 따라야 하며 내가 있는 곳에 나의 종도 있다. 나를 받드는 자 누구든, 하느님 아버지께선 그를 명예롭게 하실 것이다”(요한복음 12장 26절)고 예수님 께선 말씀하셨다. 자신을 예수님께 의탁하고 그를 진심으로 사랑하는 사람은 누구든 자신에 죽어 땅에 묻힌 밀알처럼 될 것이다.
이처럼 예수님께 자신의 모두를 의탁한 사람들은 “누구든 자신을 위해 살고자 하는 사람은 자신의 목숨을 잃을 것이요 자신의 생명을 바치는 사람은 자신의 목숨을 얻을 것”이라는 사실을 알고 있다(요한복음12장 24-25절 참조). 교회는 모든 종류의 성스러운 삶들은 비록 그 방법에 있어선 서로 다를지라도 하나같이 십자가의 길, 자기 부정의 길을 거쳤음을 알고 있다..
성인들 자선전을 살펴보면 이들 모두 하느님의 계획에 순종했으며 말할 수 없는 고통, 박해, 순교적 상황을 참아 받았다. 그들은 자신들의 소명에 항구했었다. 묵시록은 “ 이들은 큰 환난의 때를 살아 남은 자들로 어린 양인 예수님의 피로 자신들의 옷을 하얗게 깨끗이 했다,”고 말하고 있다.(묵시록 7장 14절)
이들의 이름은 생명 책에 기록되어 있으며 (묵시록 20장 12절 참조), 천국은 이들의 영원한 거처이다. 성인들의 이 같은 모범적 삶은 우리에게 우리 역시 이들의 발자취를 따라 하느님께 의탁하는 삶의 기쁨을 추구하도록 하고자 하는 용기를 준다. 그리고 여기에서 우리의 유일한 슬픔은 하느님으로 부터 멀리 떨어져 사는 것이다.
성화는 끊임없는 노력을 필요로 하지만 누구에게든 가능하다. 이유는 이러한 성화, 성인의 길은 인간 행위만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 아니고, 무엇보다 우리보다 몇 배나 성스러우신 하느님의 은총의 선물인 것이기 때문이다.(이사이아서 6장 3절 참조). 오늘의 제2 독서에서 요한 사도는 “ 하느님 아버지의 우리께 대한 사랑이 얼마나 크셨길래, 그 분은 우리를 자신의 자녀라 부르셨을까? 이 같은 그 분의 우리에 대한 사랑을 보라. 그리고 우리는 그 분의 자녀가 되었다..”(요한 1서 3장 1절)고, 말씀하셨다.
이처럼 하느님께선 먼저 우리를 사랑하셨으며 예수님 안에서 우리를 자신의 양자로 삼으셨다. 우리의 삶에서 그의 사랑의 선물 아닌 것이 아무 것도 없다. 이 같은 사랑의 신비 앞에서 우리가 어떻게 하늘에 계신 하느님께 관심을 아니 둘 것이며, 그 분께 감사하는 자녀가 되어 그 분 사랑에 응답하지 않을 수 있겠는가?
예수님 안에서 하느님께선 자신을 우리에게 온전히 주시고 자신과의 깊은 인격적 관계로 부르셨다. 그리하여 우리가 예수님과 닮아 그와 더욱 더 일치하면 할수록 신적인 성스러움의 신비 안으로 들어갈 수 있게 된다. 우리는 우리가 하느님에 의해 무한히 사랑 받고 있음을 께달을 수 있게 되며 그 결과 이웃 형제들도 사랑할 수 있게 된다. 사랑은 언제나 자기 부정의 행위이며 ”자신을 잃는 행위”로서 이러한 사랑을 실천함으로서 우리는 행복하게 된다.
그리하여 오늘 축일의 마지막 독서인 복음은 이러한 행복을 성취한 복받은 자들이 누리는 8가지 복인 진복팔단을 선언하고 있다.
예수님께선 “마음이 가난한 이는 행복하다, 괴롭힘을 받는 자는 행복하다, 정의에 굶주리고 목마른 자는 행복하다, 마음이 자비로운 자는 행복하다, 마음이 께끝한 자는 행복하다, 평화를 이루는 자는 행복하다, 정의를 위하다 박해 받는 자는 행복하다 (마테오 복음 5장3-10절 참조)고 말씀하고 계신다.
복 받으실 분 자체는 그 분, 예수님 뿐이시다. 참으로 그 분만이 진정으로 마음이 가난하고, 괴롭힘 받으시고, 양순하시고, 정의에 굶주리시고 목말라하시고, 자비스러우시며, 마음이 께끝하시고, 평화를 이룩하신 분이시며 정의를 위해 박해 받으신 분 이시다.
이러한 진복은 예수님의 영적 상태, 그의 신비를 보여주며, 그의 죽음과 부활의 신비, 수난과 부활의 기쁨의 신비를 드러내고 있다. 진정한 복의 신비인 이 같은 예수님의 신비는 우리를 그에 대한 믿음에의 길, 행복에의 길로 이끌어 준다.
우리가 각자 각자 처해있는 상황대로 예수님의 초대에 응하고 그를 따름으로서 우리 역시 이 같은 진복에 참여할 수 있다.
이제 성체 성사의 핵심 부분을 거행할 차례다. 이를 통해 우리의 성화가 시작되며 더욱 더 깊어진다. 이제 곧 그리스도께서 현존해 오시어, 진정한 포도나무이신 그 분께선 이 나무의 가지들인 이 지상의 신자들과 천상 성인들과 하나가 되실 것이다.
오늘 성체성사를 통해 이 지상에 있는 순례중인 교회와 승리를 쟁취해 영광 중에 있는 천상 교회와의 통공이 강화될 것이다. 성체 성사 시작에서 우리는 성인들이 우리의 친구이며 삶의 모범임을 선언할 것이다. 그런 다음 우리 역시 그들의 모범을 따라 하느님의 부르심에 기꺼히 응답하도록 도와주시기를 성인들에게 간구할 것이다. 우리는 주님의 어머니이시며 성스러움의 반영이신 마리아께 특히 도움을 청할 것이다. 지극히 성스러우신 마리아여 우리 모두 당신 아들 예수 그리스도의 충실한 제자가 될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아멘.
On All Saints' Day
"Everything Passes, only God Does Not Change"
VATICAN CITY, NOV. 1, 2006 (Zenit.org).- Here is a translation of the address Benedict XVI delivered today from the window of his study, to the crowds gathered in St. Peter's Square to recite the midday Angelus on the solemnity of All Saints.
* * *
Dear Brothers and Sisters,
Today we celebrate the solemnity of All Saints, and tomorrow we commemorate the faithful departed.
These two deeply felt liturgical observances offer us a singular opportunity to meditate on eternal life. Does modern man still look for this eternal life or does he think that it belongs to a mythology that we have moved beyond?
In this our time, more so than in the past, we are so absorbed by earthly things that it is hard for us to think of God as a protagonist in history and in our own lives. Human existence, however, by its very nature, is directed toward something greater, which transcends it. The yearning in human beings for the fullness of justice, truth and happiness is irrepressible.
Faced with the enigma of death, there is alive in many the desire and the hope to find their loved ones again up above. Just as powerful is the belief in a final judgment which will re-establish justice, the expectation of a definitive confrontation in which each will be allotted what he deserves.
"Eternal life," however, does not mean for us Christians simply a life that lasts forever, but rather a new quality of existence fully immersed in the God's love, which frees us from evil and death and which puts us in everlasting communion with all the brothers and sisters who share in the same love.
Consequently, eternal life can already be present in the center of earthly and temporal life when, through grace, the soul is joined to God, its ultimate foundation. Everything passes, only God does not change. A Psalm says: "My flesh and my heart diminish; but the rock of my heart is God, God is my lot forever" (Psalm 72[73]:26).
All Christians, called to sanctity, are men and women who live anchored solidly in this "rock"; they have their feet on the earth but their heart is already in heaven, definitively dwelling with the friends of God.
Dear brothers and sisters, we meditate on this reality with our soul turned toward our final and definitive destiny, which gives meaning to the circumstances of our daily lives. Let us revive the joyous sentiment of the communion of saints and allow ourselves to be drawn by them to the goal of our existence: the face-to-face encounter with God.
Let us pray that this be the inheritance of all the faithful departed, not only of our own loved ones but also of all souls, especially those most forgotten and most in need of divine mercy. May the Virgin Mary, queen of all saints, guide us to choose eternal life in every moment -- the "life of the world to come," as we say in the Creed; a world already inaugurated by the resurrection of Christ and whose coming we can hasten with our sincere conversion and works of charity.
[Translation by ZENIT]
[At the end of the Angelus the Pope greeted pilgrims in several languages. In English, he said:]
I offer a warm welcome to all the English-speaking visitors gathered for this Angelus prayer.
Today's solemnity of All Saints invites us to rejoice in the fellowship of the saints, to imitate their example and to strive to share in their eternal reward. Through their prayers, may all of us be strengthened in our fidelity to the Gospel and its promises. God bless you all!
Benedict XVI's Homily for All Saints' Day
"Holiness Demands a Constant Effort"
VATICAN CITY, NOV. 1, 2006 (Zenit.org).- Here is a translation of the homily Benedict XVI gave during the Mass he presided over in St. Peter's Basilica today, the solemnity of All Saints.
* * *
Dear Brothers and Sisters,
Our Eucharistic celebration opened today with the exhortation "Let us rejoice in the Lord." The liturgy invites us to share the heavenly jubilation of the saints, to taste the joy. The saints are not a restricted caste of elect but a crowd without number toward which, today, the liturgy exhorts us to lift our eyes.
Among this multitude are not only the officially recognized saints but the baptized of every age and nation who have sought to accomplish the divine will with love and fidelity. Many there are whose faces and names we do not know but with the eyes of faith we see them shine like stars full of glory in the divine firmament.
Today the Church celebrates her dignity as "mother of the saints, image of the eternal city" (Alessandro Manzoni), and manifests her beauty as immaculate bride of Christ, the source and exemplar of all holiness. She does not lack for riotous and indeed rebellious children, but it is in the saints that she recognizes her characteristic traits and precisely in them she savors her deepest joy.
In the first reading the author of the Apocalypse describes "a great multitude,
which no one could count, from every nation, race, people and tongue" (Revelation
But "of what use is our praise of the saints, our tribute of glory, our solemnity that we celebrate?" A famous homily of St. Bernard for the feast of All Saints begins with this question. It is a question that we could ask ourselves even today. The reply that St. Bernard gives is also pertinent to us: "Our saints," he says, "have no need of our honors and they gain nothing from our commemoration. For myself, I must confess, that when I think of the saints, I feel enflamed by great desires" (Homily 2, "Opera Omnia," ed. Cisterc, 5, 364 ff.).
Behold the meaning of today's solemnity: Gazing upon the luminous example of the saints the great desire to be like the saints is awakened in us; happy to live near to God, in his light, in the great family of the friends of God. Being a saint means living close to God, living in his family. And this is the vocation of all of us, vigorously reaffirmed by the Second Vatican Council, and on this day brought to our attention in a solemn way.
But how can we become saints, friends of God? An initial response to this question is this: To be saints it is not necessary to perform extraordinary deeds and works, nor is it necessary to possess exceptional charisms. But this only tells us what sainthood is not. The positive answer is that to become a saint it is above all necessary to listen to Jesus and then to follow him and not lose heart in the face of difficulties.
If anyone wants to serve me," he says, "he must follow me, and where I am there also is my servant. If anyone serves me, the Father will honor him" (John
He knows in fact that whoever tries to keep his life for himself will lose it and whoever gives his life, in this way, finds life (cf. John
The biographies of the saints depict men and women who, always docile to divine designs, sometimes endured indescribable sufferings, persecutions and martyrdom. They persevered in their task. "These are the ones who have survived the time of great distress," we read in the Book of Revelation, "they have washed their robes and made them white in the blood of the Lamb" (
Their names are written in the book of life (cf. Revelation
Holiness demands a constant effort but it is possible for all since it is not just the work of man but is above all a gift of God, who is thrice holy (cf. Isaiah
It is God therefore who loved us first and in Jesus he has made us adoptive sons. In our life all is a gift of his love. How is it possible to remain indifferent before so great a mystery? How is it possible to not respond to the love of the heavenly Father by leading a life of grateful children?
In Christ he has given himself entirely to us and has called us to a personal and profound relationship with him. Thus, the more we imitate Christ and remain united to him, the more we enter into the mystery of divine holiness. We discover that we are infinitely loved by him and this moves us to love our brothers. Loving always means an act of self-denial, "losing oneself," and it is in this way that we become happy.
We therefore arrive at the Gospel of this feast, the proclamation of the beatitudes that a short while ago we heard echo through this basilica.
Jesus says: Blessed are the poor in spirit, blessed are the afflicted, the meek, blessed are those who hunger and thirst for justice, the merciful, blessed are the pure of heart, the peacemakers, the persecuted for the sake of justice (cf. Matthew
In truth, the blessed par excellence is only him, Jesus. Indeed, he is the truly poor in spirit, the afflicted, the meek one, the one hungering and thirsting for justice, the merciful, the pure of heart, the peacemaker; he is the one persecuted for the sake of justice.
The beatitudes show us the spiritual physiognomy of Jesus and thus express his mystery, the mystery of death and resurrection, of the passion and the joy of the resurrection. This mystery, which is the mystery of true blessedness, invites us to follow Jesus and thus the way to happiness.
In the measure that we accept his proposal and follow him -- everyone according to his own circumstances -- we too can participate in his beatitude. With him the impossible becomes possible and in the end the camel passes through the eye of needle (cf. Mark
Dear brothers and sisters, we now enter into the heart of the Eucharistic celebration, the stimulus and nourishment of holiness. In a short while Christ will become present in a higher way, he who is the true vine to which are united, as branches, the faithful on earth and the saints in heaven.
The communion of the pilgrim Church in the world with the Church triumphant in glory will be strengthened. In the Preface we will proclaim that the saints are for us friends and models of life. We will ask them that they help us to imitate them and to undertake to respond with generosity to the divine call as they did. We will especially call upon Mary, the mother of the Lord and mirror of sanctity. May she, the all-holy one, make us faithful disciples of her son Jesus Christ! Amen.
'밭에 묻힌 보물 > 신앙 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야훼"라는 호칭을 금지한 이유 (0) | 2010.01.14 |
---|---|
성체조배 시작기도와 끝기도 (0) | 2009.12.06 |
“예수님은 하느님의 아들, 성자이시다”는 신비를 께닫고 이를 탐구하는 (0) | 2009.12.04 |
겸손의 단계 - 베네딕도 성인 (0) | 2009.09.16 |
성모칠고 (0) | 2009.09.15 |